◇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습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학습 연구의 실제, 바틀렛의 연구,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손다이크 효과의 법칙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⑪(학습 연구의 실제, 바틀렛의 연구, 파블로프 고전적 조건화, 손다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습의 본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인지 심리학, 인지 주의, 사회문화적 맥락 이론, 인지 신경과학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narrare3.tistory.com
③ 인지적 접근 :
㉮ 톨먼의 인지도 :
ⓐ 톨먼(Edward C. Tolman, 1886~1959)은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심리학자이자 교수였다.
ⓑ '신(新) 행동주의자'로 불리는 톨먼도 쥐미로를 만들어 실험을 한 바가 있다.
ⓒ 먹이가 없이 미로를 자유롭게 돌아다닌 쥐들은 이후 먹이를 두자 자유롭게 돌아다닌 경험이 전혀 없는 쥐보다 훨씬 빠르게 먹이를 찾아내었다.
Edward C. Tolman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merican psychologist (1886–1959) Edward Chace Tolman (April 14, 1886 – November 19, 1959) was an American psychologist and a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1][2] Through Tolman'
en.wikipedia.org
ⓓ 쥐는 미로에 대해 내적으로 전체 조망을 가지는데, 톨먼은 그러한 외적 세계에 대한 내적인 심리적 표상을 '인지도'라고 불렀다.
ⓔ ⓒ의 결과는 쥐가 처음에 인지도를 학습해서 이후에 그것을 사용했다는 증거라고 주장하였다.
ⓕ 톨먼은 이러한 학습을 *'잠재 학습(latent learning)' 이라고 불렀으며, 잠재 학습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일어나는 학습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잠재학습
강화인이 제공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일어나는 학습의 한 형태로, 강화인이 제공되기 전까지 학습된 행동을 사용하지 않고 잠재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 학습된 것이 행동으로 표출되기 이전에
terms.naver.com
ⓖ 톨먼은 여러 가지 형태의 학습이 존재한다는 현대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었고, 이는 동물과 사람의 학습에 대한 인지적 연구의 시초가 되었다.
㉯ 고든 바우어(바워)의 통찰 학습 :
ⓐ 바우어(바워, Gordon H. Bower, 1932~2020)는 인간 학습이 단숨에 일어난다는 모델, 즉 *통찰 학습(insight learning)을 제안하였다.
ⓑ 그는 어려운 수수께끼나 단어 맞추기, 혹은 알고 있는 사실이 잘 떠오르지 않을 때 우리는 통찰 학습이 일어나는 순간을 경험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Gordon H. Bower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merican psychologist (1932–2020) Gordon H. BowerBorn(1932-12-30)December 30, 1932DiedJune 17, 2020(2020-06-17) (aged 87)Alma materWestern Reserve UniversityAwardsNational Medal of Science (2005)Scientific careerFi
en.wikipedia.org
ⓒ 사람의 학습 곡선은 점진적으로 상승, 다시 말해 어떤 시행착오를 거쳐서 우연히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느 시간 동안 0%였다가 갑자기 100%로 뛰어오르는 형태를 보인다고 하였다.
통찰학습
시행착오를 거쳐 우연히 얻는 성공이 아니라 문제를 완전히 파악한 결과 문제상황에 대한 요소 사이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일어나는 인지적 재구성. 통찰로써 획득한 해결을 바탕으로 하는 수
terms.naver.com
④ 볼스의 진화 심리학 :
㉮ 볼스(Robert C. Bolles, 1928~1994)는 진화론적 학습 이론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Robert C. Bolles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merican psychologist Robert Charles Bolles (April 24, 1928 – April 8, 1994) was an American psychologist and author who conducted work on experimental psychology. He developed the species-specific defense reaction t
en.wikipedia.org
㉯ 기대 :
ⓐ 볼스에게 있어서 학습은 기대 발달을 포함한다.
ⓑ 유기체는 한 종류의 사건이 확실히 다른 사건을 앞선다는 것을 학습한다.
ⓒ 볼스 이론의 기대 학습은 *강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학습과 기억발달②(조작적 조건형성, 스키너, 정적, 부적, 계속적, 간헐적 강화, 처벌, 유쾌, 불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습과 기억발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학습의 의의, 행동주의적 접근, 고전적 조건형성이론(파블로프의 실험, 학습의 원리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narrare3.tistory.com
ⓓ 학습된 기대의 본질을 결정하는 것은 두 자극 간 또는 반응과 그 결과 간의 시간적 순서와 유관성이다. 예를 들어 번개의 번쩍거림은 천둥의 예언인이 되고, 버튼을 누르는 것은 벨로리의 예언인이 된다.
ⓔ 따라서 볼스를 '방향적' 인접 이론가라고 한다.
㉰ 타고난 소인 :
ⓐ 행동 분석을 통해 타고난 S-S(자극-자극)와 R-S(반응-자극) 기대를 강조했다(이는 톨먼이 학습된 S-S, 학습된 R-S 기대에 집중한 것과 차이가 있다).
ⓑ 예를 들어 어린 영아가 큰 소리에 두려움을 보이는 것은 영아가 큰 소리 다음에 뒤따를 위험한 사건을 기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타고난 S-S 관계).
ⓒ 많은 종의 동물들이 먹이, 물, 위험, 다른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대상이나 사상들의 존재에 대해 보이는 정형화된 행동이다(타고난 R-S 관계).
㉱ 동기는 반응 융통성을 제한한다 :
ⓐ 볼스는 동기와 학습이 서로 분리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
ⓑ 비록 유기체가 학습하는 S-S 기대는 어느 정도 융통성은 있지만, R-S 기대는 동기가 반응 편향을 유발하기 때문에 좀 더 제한적이다.
ⓒ 동물은 먹이에 접근하기 위해 도피 관련 행동을 학습하지는 않을 것이며, 고통스럽거나 위험한 자극에서 도피하기 위해 욕망적 행동을 학습하지 않을 것이다.
ⓓ 예를 들어 먹이를 먹기 위해 전기 충격이 있는 방에서 도피를 학습하지는 않을 것이다.
㉲ 적소 논증(niche argument) :
ⓐ 볼스는 학습을 이해하기 위해 그 유기체의 진화 역사를 이해해야 한다고 했다.
ⓑ 적소 논증이란 특정 환경이나 조건에서 어떤 생물이 성공적으로 살아남고 번식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논리적인 근거 또는 주장을 말한다.
ⓒ 동물은 자신들의 적소(niche)에 의존하는 것과 사물들에 대한 전반적 도식에 맞추는 방법을 학습하거나 학습하지 않을 의무(필수사항)를 가지고 있다.
ⓓ 우리는 어떤 종류의 경험이 학습에 반영되고 어떤 것은 반영되지 않을지 기대한다.
ⓔ 자기 적소에 대한 동물의 선험적(선천적)이고 생물학적인 의무를 위반하는 학습 과제는 변칙적인 행동을 산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상 총 12회에 걸쳐서 학습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았다.
* 출처 및 참조 :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