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⑨(학습 이론의 발달 과정, 기능주의, 윌리엄 제임스, 행동주의 왓슨, 사회인지 이론 반두라, 피아제, 비고츠키, 게슈탈트, 구성주의)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5. 4. 30.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습의 본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학습 이론의 발달 과정 중 의지주의, 구성주의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4.22 -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⑧(프란츠 요제프 갈, 다윈, 에빙하우스, 학습 이론의 발달 과정, 의지주의, 구성주의, 분트, 티치너, 차이, 골상학, 정신 근육, 빈도의 법칙, 통각)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⑧(프란츠 요제프 갈, 다윈, 에빙하우스, 학습 이론의 발달 과정, 의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학습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현대 심리학의 시작, 데카르트, 홉스, 로크, 버클리, 흄, 칸트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

narrare3.tistory.com

 

 

 

 

③ 기능주의(Functionalism) :

 

㉮ 기능주의는 미국의 철학자이자 대학 교수인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가 창시한 학파로 구성주의(Structuralism)에 반대하며 시작되었으며, 구성주의와 동시에 공존하였다.

 

㉯ 기능주의자들은 다윈의 진화론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의식의 유용성,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행동과 의식의 기능을 강조하였다. 

 

㉰ 여기서 '기능'이라는 용어는 정적인 구조와 대조되는 능동적인 작용 혹은 활동을 뜻한다. 

 

㉱ 구성주의의 내성 기법은 의식을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는 이유로 반대하였다.

 

㉲ 기능주의자들의 학습 이론에 대한 공헌은 의식을 고립된 현상으로 보지 않고 의식과 환경의 관계에 대해 연구했다는 것이다.

 

 

728x90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1910)

 

 

 

 

윌리엄 제임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출생1842년 1월 11일미국 뉴욕주 뉴욕사망1910년 8월 26일미국 뉴햄프셔주 탬워스성별남성국적미국학력하버드 대학교 의학박사경력하버

ko.wikipedia.org

 

 

 

- 윌리엄 제임스는 의식이 요소로 환원될 수 없고, 의식 기능의 목적은 유기체가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의식이 요소로 환원될 수 없는 것은 인간의 의식 과정이 인간의 모든 경험이 변화함에 따라 변화하며, 인간의 환경 적응에 개입하기 때문이다.

 

- 윌리엄 제임스가 생각한 의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의식이 목적을 갖는다는 것이며, 심리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인간은 이성적인 면과 비이성적인 면을 모두 갖는다고 강조하였다.

 

- 정신적 사상의 생물학적 기본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간에 대해 더 알기 위해서 하등 동물 연구를 촉구하였다.

 

- 윌리엄 제임스의 생각은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심리학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학자로 여겨진다.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

 

 

 

 

존 듀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존 듀이(John Dewey, 1859년 10월 20일 ~ 1952년 6월 1일)는 미국의 철학자, 심리학자, 교육학자이다. 듀이는 미국인 최초로 자신이 직접 저술한 제목의 심리학 교과서를

ko.wikipedia.org

 

 

 

- 미국의 철학자, 심리학자, 교육자인 존 듀이는 행동의 목적을 무시하는 결과를 낳기 때문에 자극과 반응의 관계를 분리하려는 심리학계의 태도를 비난하였다.

 

- 심리학의 목적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행동의 중요성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④ 행동주의(Behaviorism) : 

 

㉮ 왓슨(John B. Watson)은 행동주의의 창시자다.

 

㉯ 왓슨은 의식은 내성 과정으로 연구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의식에 대한 신뢰성 있는 연구는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 왓슨에 따르면 학습을 객관적으로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관찰할 수 있고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사람들의 행동(반응)과 그 반응에 선행하고 뒤따르는 환경적인 사건(자극)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 행동주의의 주장은 관찰 가능한 행동을 연구하는 것에 집중해야 하고, 관찰 불가능한 것과 잘 정의되지 않은 정신적 사건을 연구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 왓슨은 심리학이 객관적인 실험을 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가 되어야 하며, 심리학의 이론적 목표는 행동을 예측하고 통제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300x250

 

 

 

 

왓슨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의 개척자. 왓슨은 남부캘리포니아(South Califonia)의 그린빌(Greenvill)에서 태어났다. 홀어머니 밑에서 자란 그는 어린 시절에 상당한 말썽꾸러기였다. 1903년 시카고(Chicago)대

terms.naver.com

 

 

 

㉳ 제 1차 세계대전 후 동등한 자유와 기회에 대한 열망은 대중들의 관심을 크게 불러일으켰으며, 1920년대 초 미국의 학습심리학은 행동주의가 중심이 되었다.

 

㉴ 행동주의자 관점은 사람이 어떻게 학습하고 교육적 · 치료적 환경이 사람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행동하도록 도울 수 있는지에 기여하였다.

 

㉵ 반응과 그에 대한 결과를 경험할 때만 학습이 일어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행동주의의 한계가 명확해졌다.

 

 

⑤ 사회 인지 이론(Social Cognitive Theory) :

 

사회 인지 이론은 조작적 조건화, 사회 학습 이론인지 심리학의 영역을 합친 종합적인 이론이다.

 

㉯ 사회 인지 이론은 사회적 관찰이 새로운 행동의 획득과 학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기본 개념을 가지고 있다.

 

㉰ 미국의 심리학자 반두라(Albert Bandura, 1925~2021)는 사회 학습 이론의 관점에서 인간의 행동과 학습을 분석하였다.

 

 

 

 

반두라

캐나다 출신의 사회인지학습이론의 창시자이며 스탠퍼드대학교 심리학부 명예교수. 반두라는 캐나다 앨버타(Alberta) 주 북쪽의 전체 인구가 100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 작은 시골 마을 문데어에서

terms.naver.com

 

 

 

㉱ 반두라는 초기에는 행동주의 학습 이론에서 출발해서 나중에는 인지적 측면을 중시하는 사회 인지 이론을 새롭게 발전시켰다.

 

㉲ 사회 인지 이론은 환경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에서의 인지적 활동을 모두 중요하게 다룬다는 측면에서 두 이론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비슷한 시기인 20세기 초 스위스의 연구자 장 피아제(Jean Piaget, 1896~1980)는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변화하는 추론 과정의 수많은 방법을 연구했고, 러시아의 심리학자 비고츠키(Lev Smenovich Vygotsky 1896~1934)는 아이들의 사회 및 문화적 환경이 그들에게 더 복잡한 사고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독일에서는 '게슈탈트(Gestalt) 심리학자'라고 불리는 이론가들이 인간 지각과 문제 해결 등 정신 현상들에 관한 여러 흥미로운 연구들을 진행하였다.

 

 

 

 

피아제

스위스의 심리학자. 어린이의 정신발달, 특히 논리적 사고 발달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인식론의 제반 문제를 추구하였다. 그의 연구의 특징은 임상법에 있다. 정신병 환자의 임상진단방법을 응

terms.naver.com

 

 

반응형

 

 

 

 

 

비고츠키

구소련 심리학의 대표적 발달이론을 구축한 심리학자. 비고츠키는 벨라루스 보르샤(Belarus Borsa)의 유복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차별을 받으며 성장했지만, 부모님이 유대인으로서 풍부한 문

terms.naver.com

 

 

 

 

게슈탈트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로 조직화하여 지각한 것. 게슈탈트는 독일어 'gestalten(구성하다, 형성하다, 창조하다, 개발하다, 조직하다 등의 뜻을 지닌 동사)'의 명사형으로, 전

terms.naver.com

 

 

 

■ 다음 시간에 계속, 학습의 본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습 심리학] 학습의 본질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