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학습 심리학] 고전적 조건 형성⑩(편견, 의미, 학습, 치료, 성도착증, 치료, 광고, 연합, 혐오치료)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5. 7. 4.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고전적 조건 형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주의 이론, CS효과성 이론, 비교기 이론, 사전 노출 효과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7.01 -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 ✔[학습심리학] 고전적 조건형성⑨(주의 이론, CS 효과성 이론, 비교기 이론, 사전노출효과, 어린 앨버트 실험, 정서 치료, 실제 노출법, 체계적 둔감화, 가상 현실 노출 치료 VRET)

 

✔[학습심리학] 고전적 조건형성⑨(주의 이론, CS 효과성 이론, 비교기 이론, 사전노출효과, 어린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고전적 조건 형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조건 자극의 본질에 관한 이론, 레스콜라-와그너 모형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

narrare3.tistory.com

 

 

 

 

(2) 편견(prejudice) :

 

① 편견의 의미 :

 

㉮ 편견은 미리 판단하는 것으로, 우리가 관련된 사실을 알기도 전에 판단을 한다는 것이다.

 

㉯ 편견은 어떤 사람 혹은 어떤 집단에 대해 부정적인 관점을 가리키는 데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 극단적인 편견은 증오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 왓슨은 증오를 조건 정서 반응으로 규명하였다.

 

 

② 편견의 학습 : 

 

㉮ 공포의 학습과 비슷하게 싫어하는 것도 학습하는 것으로 보인다.

 

㉯ 대부분 특정 집단과 부정적 단어, 영상과의 연합을 통해 습득된다. 따라서 어떤 집단의 구성원과 개인적인 접촉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도 습득될 수 있다.

 

㉰ 일테면 네덜란드인이라는 단어가 긍정적인 단어들과 함께 나타났을 때 부정적인 단어와 함께 나타났을 때보다 긍정적인 점수를 얻었다.

 

㉱ 이슬람 교도 극렬 분자들이 911 테러를 일으켰다는 사실은 이슬람 교도에 감정에 영향을 준다. 실제로 911 이후 미국에서 아랍인에 대한 폭행이 증가하였다.

 

㉲ 이처럼 편견을 만드는 것과 똑같은 종류의 경험들이 그것을 역전시킬 수 있다.

 

 

728x90

 

 

③ 편견의 치료 : 

 

㉮ 사람들이 증오를 갖는 이유를 알게 되면 증오가 없어질 수 있다.

 

㉯ 그러나 편견이 조건형성의 산물이라면 정보 제공만으로 편견을 없애기는 어려울 것이다.

 

㉰ 접촉도 편견을 없애는 방법이지만 수십 년에 걸친 조건형성을 없애기는 어려울 수 있다.

 

㉱ 예를 들어 베트남인들의 사진과 긍정적인 단어들을 짝지음으로써 미국 백인 아이들의 베트남인들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변화시킬 수 있었다.

 

㉲ 어떤 사람이 증오학습이 오래 되었을수록  그 사람의 감정을 변화시키기가 더 어려웠다(아프리카계 사람들의 편견을 없애는 훈련은 베트남 사람들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 어떤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낳는 것과 같은 방식의 경험이, 그 집단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낳을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편견

특정 집단에 대해서 한쪽으로 치우친 의견이나 견해를 가지는 태도. [ 1. 개요] 편견은 특정 집단에 대해서 한쪽으로 치우친 의견이나 견해를 가지는 태도로,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정서와 평가를

terms.naver.com

 

 

 

 

(3) 성도착증 : 

 

① 성도착증과 조건형성 : 

 

㉮ 조건형성은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인 것으로 여기는 성행동들을 포함해서 여러 가지 형태의 성행동이 어떻게 습득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전기충격에 뒤이어 먹이를 주는 학습을 하자 개는 전기충격에 반응하여 침을 흘렸다.

 

㉰ 개들은 핀으로 찌르기 등의 고통 자극에 반응으로도 침 흘리기를 학습하였다.

 

㉱ 전기충격이나, 핀 같은 자극들이 혐오적 성질을 상실하는 것으로 보였다.

 

㉲ 고통과 음식을 반복해서 짝지어주면 개들이 고통을 참았다기보다 즐기는 것으로 보였다.

 

㉳ 마조히즘(피학성 변태성욕)과 기타 비관습적인 성적 활동은 고통과 연합된 성적 자극의 학습에 따른 것일 수 있다.

 

 

반응형

 

 

② 성도착증 치료 :

 

㉮ 혐오 치료는 성도착증 치료법으로 사용된다.

 

㉯ 혐오 치료는 부적절한 성적 흥분을 일으키는 CS를 불쾌한 반응(일반적으로는 구토)을 유발하는 US와 짝짓는다.

 

㉰ 치료가 효과를 내게 되면 예전에는 성적 흥분을 일으키던 자극이 더이상 흥분을 일으키지 않으며, 오히려 불안과 불편한 느낌까지 일으킬 수도 있다.

 

㉱ 그렇다고 해서 모든 혐오 치료가 성공적인 것은 아니며, 재발하는 경우도 흔하다.

 

㉲ 성도착증 중 일부는 특히 치료가 어려운데, 그 행동 자체가 수많은 회기의 고전적으로 조건형성된 산물의 일부이기 때문일 것이다.

 

㉳ 약물 치료나 수술적인 방법도 있지만, 그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가 존재한다.

 

 

◆ 혐오 치료는 환자가 자극에 노출되는 동시에 어떤 형태의 불편함을 경험하게 되는 심리 치료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조건화는 환자가 자극을 불쾌한 감각과 연관시켜, 목표하는 (때로는 강박적인) 행동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출처 : [위키피디아] 혐오 치료

 

 

 

 

(4) 광고 : 

 

㉮ 광고주들은 긍정적인 정서를 확실하게 일으키는 자극들을 제품과 짝지으려고 시도한다.

 

㉯ 광고는 어떤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보다 그 제품에 대한 조건정서반응을 만드는 데 관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예를 들면 TV 광고에서 멋진 사람들이 즐겁게 노는 장면과 특정 상표의 맥주가 연합된다.

 

㉱ 또한 성공한 제품을 새 제품과 짝짓는 공동 마케팅, 경쟁 상품을 부정적인 정서를 일으키는 것들과 짝짓는 방법이 있다. 

 

㉲ 실험에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악과 좋아하지 않는 음악 각각을 어떤 펜과 짝지을 때, 펜에 대한 기호는 편과 연합된 음악에 대한 기호를 반영하는 결과를 보였다.

 

㉳ A사 치약 다음에 호감을 유발하는 장면이 나올 때 A사의 치약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 어떤 제품에 대해 오랫동안 확립된 선호도는 인종이나 민족 집단에 대한 오랫동안 확립된 편견과 비슷할 수 있다.

 

㉵ 오랜 시간 조건형성된 어떤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를 몇 번의 광고에 의해 다른 브랜드로 바꿀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2022.01.17 - [이야기가 있는 정원, 발달심리] - ✔학습과 기억발달①(행동주의 심리학, 고전적 조건형성, 무조건 자극, 중성자극, 조건반응, 파블로프, 습관화, 탈습관화, 역조건형성, 자발적 회복, 자극일반화, 자극변별, 체계적 둔감법)

 

✔학습과 기억발달①(행동주의 심리학, 고전적 조건형성, 무조건 자극, 중성자극, 조건반응, 파

◆ 오늘부터는 학습과 기억발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학습(learning) (1) 의의 : ① 학습은 유전, 성숙, 또는 생리적 손상에 의해서가 아니라 반복, 관찰, 연습에 의한 경험으로 나타나는 비

narrare3.tistory.com

 

 

 

 

(5) 약물중독 : 

 

① 고전적 조건형성에 따른 약물중독 :

 

㉮ 많은 약물중독 연구자들이 중독을 뇌의 질병으로 본다.

 

㉯ 절정감, 내성, 금단, 재발이 파블로프식 조건형성에 의해 잘 설명된다.

 

㉰ 고전적 조건형성에 따르면 복용하는 약물은 무조건 자극(US)이고, 절정감은 무조건 반응(UR)이다.

 

㉱ 약물과 연합된 약봉지, 복용 시 환경(가구, 사람들, 들려온 음악, 기타 소리, 냄새, 방안 온도 등), 복용 전 먹었던 음식 등 많은 것들이 조건 자극(CS)이 될 수 있다.

 

 

300x250

 

 

▣ 절정감 : 중독 약물로 인해 기분 좋은 경험을 하는 것

▣ 내성 : 약물 복용을 반복하다보면 절정감을 느끼기 위한 약물의 양이 증가하는 것

▣ 금단 : 어떤 약물에 중독되어 그 약물을 복용하지 못했을 때 갈망과 불편감을 느끼는 것

▣ 재발 : 오랜 기간 약물을 끊어 체내에 약물의 흔적이 없는데 특정 상황에서 금단 증상들이 나타나 약물을 다시 복용하는 것

 

 

 

■ 다음 시간에 계속,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습 심리학] 고전적 조건형성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