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학습 심리학] 고전적 조건 형성⑧(조건 자극의 본질에 관한 이론, 레스콜라-와그너 모형, 모형의 발견, 조건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 차폐에 대한 설명)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5. 6. 24.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고전적 조건 형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조건 반응의 본질에 관한 이론들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6.18 - [이야기가 있는 정원, 학습 심리] - ✔[학습 심리학] 고전적 조건 형성⑦(조건 반응의 본질에 관한 이론, 자극대체이론, 파블로프, 과정, 고순위조건 형성, 준비 반응 이론, 보상반응 이론, 조건 반응, 무조건 반응)

 

✔[학습 심리학] 고전적 조건 형성⑦(조건 반응의 본질에 관한 이론, 자극대체이론, 파블로프, 과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고전적 조건 형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사전 경험, 잠재적 억제, 실험 과정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5.06.12 - [이야

narrare3.tistory.com

 

 

 

(2) 조건 자극(CS)의 본질에 관한 이론 : 

 

① 레스콜라 - 와그너 모형(Rescorla - Wagner Model) :

 

㉮ 모형의 발견 :

 

ⓐ 학습의 조건을 조건 자극(CS)과 무조건 자극(US)의 근접성이라고 한 파블로프의 주장과 조건 자극과 무조건 자극 사이에 수반성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 *레스콜라(Robert A. Rescorla, 1940~2020)의 생각 모두 차폐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 레스콜라 - 와그너는 파블로프의 조건 형성의 새 이론을 만들었다.

 

ⓒ 레스콜라 - 와그너 모형은 지난 40년 동안 가장 영향력 있는 조건 형성 이론으로 자리잡았다.

 

 

 

 

Robert A. Rescorla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merican psychologist (1940 - 2020) Robert A. Rescorla (May 9, 1940 - March 24, 2020)[1][2] was an American psychologist who specialized in the involvement of cognitive processes in classical conditioning[3] focusing o

en.wikipedia.org

 

 

728x90

 

 

 

㉯ 조건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 :

 

ⓐ 레스콜라 - 와그너는 두 자극을 짝지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조건 형성의 양에는 한계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 이러한 한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은 무조건 자극(US)의 성질이다.

 

✅ 예 : 스테이크는 빵보다 더 강한 침 분비를 일으킬 것이다. 

 

 

 

ⓒ 자극에 따라 짝짓기 횟수가 달라진다. 어떤 자극은 몇 번의 짝짓기만으로 학습이 되며, 어떤 자극은 몇백 번 짝지어져도 효과가 없다.

 

ⓓ 조건 형성이 진행되는 속도는 일정하지 않다(짝짓기를 계속할수록 한 번의 짝짓기는 점점 더 적은 양의 학습을 일으킨다).

 

 

✅ 예 : 조건 자극(CS)과 무조건 자극(US)이 최초로 짝지어질 때 두 번째보다 더 많은 학습이 일어나며, 두 번째는 세 번째보다, 세 번째는 네 번째보다 학습이 더 많이 일어난다.

 

 

 

㉰ 이론의 내용 :

 

레스콜라 - 와그너 모형은 조건 학습을 수학 공식으로 표현하였다.

 

 

∆⋁n = c(⋋- ⋁n -1)

 

 

300x250

 

 

 

기호의 의미 :

 

- ∆⋁n : n번의 시행에서 연합 강도의 변화 

 

- c : 조건 자극(CS)과 무조건 자극(US)이 서로 효과적으로 조건 반응(CR)을 일으킬 수 있는지 나타내는 상수(c가 클수록 효과적인 자극들이라는 의미로 0~1 사이)

 

- ⋋ : 무조건 자극(US)이 일으키는 학습의 총량(0 이상의 수)

 

- ⋁n - 1 : 바로 직전까지 일어난 학습의 수

 

ⓑ 다음 공식은 학습된 총량의 50%가 첫 시행에서 일어날 것임을 의미한다. 이후의 시행이 진행될수록 보면 학습의 양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다섯 번의 시행 후에는 이 두 자극들을 짝짓기에서 얻을 수 있는 학습의 97% 정도가 이미 일어났다.

 

 

1회 : ∆⋁1 = 0.5(100-0) = 50

2회 : ∆⋁2 = 0.5(100-50) = 25

3회 : ∆⋁3 = 0.5(100-75) = 12.3

4회 : ∆⋁4 = 0.5(100-87.5) = 6.3

5회 : ∆⋁5 = 0.5(100-93.8) = 3.1

 

 

 

ⓒ 다음 공식은 벌에 쏘여 독에 알러지 반응을 보인 경우를 만들어 본 것이다. 여기서 조건 자극(CS)은 벌의 모습이고 무조건 자극(US)은 강력하기 때문에 두드러진 자극이 된다. 

 

따라서 c의 값을 0.8로 놓은 것이다.

 

1회 : ∆⋁1 = 0.8(100-0) = 80

2회 : ∆⋁2 = 0.8(100-80) = 16

3회 : ∆⋁3 = 0.8(100-96) = 3.2

4회 : ∆⋁4 = 0.8(100-99.2) = 0.64

 

 

ⓔ 사용되는 자극들의 효력을 증가(c를 0.5에서 0.8로 높임)시키면 첫 시행의 학습량이 눈에 띄게 증가한다.

 

ⓕ ⓑ의 식에서 무조건 자극(US)은 약한 자극이므로 다섯 번에 일어난 학습량이 ⓒ의 경우 무조건 자극(US)이 더 강하기 때문에 세 번 반복으로도 같은 학습량을 보인다.

 

 

반응형

 

 

 

㉱ 차폐에 대한 설명 :

 

ⓐ CS1과 CS2가 결합할 즈음 학습의 거의 전부가 이미 일어난 상태이기 때문에 차폐가 발생한다.

 

ⓑ 다시 말해 첫 번째 조건 자극(CS)이 무조건 자극(US)로 만들어낼 수 있는 학습의 총량을 소진해 버려 더 이상 일어날 수 있는 조건 형성이 남아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 어떤 면에서 무조건 자극(US)이 가르칠 수 있는 학습을 모두 가르친 것이라 할 수 있다.

 

 

레스콜라 - 와그너 모형은 차폐, 전형적인 조건 형성 곡선의 부적으로 체감하는 기울기, 두드러진 자극들이 더 짧은 시간 안에 더 많은 학습을 일으킨다는 사실, 소거 절차에 의한 조건 반응(CR)의 감소를 설명해 준다. 

 

㉲ 이 이론은 잠재적 억제와 사전 노출 효과를 설명하지는 못한다.

 

㉳ c값을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특정 실험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구체적으로 예측하는 데 이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레스콜라-와그너 모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 다음 시간에 계속, 고전적 조건 형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습 심리학] 고전적 조건 형성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