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부터는 자기와 사회인지(자아개념, 자아,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 자아통제 등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자아개념의 발달
(1) 자아(Self) :
① 자아의 정의 :
자아는 각 개인의 독특한 신체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의 결합체를 말하며, 아래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범주적 자아(Categorical Self) :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는 차원에 따라 자아를 범주화화는 것(예 : 성, 연령 등)
✔공적 자아(Public Self) :
외현적으로 드러나, 타인이 알 수 있는 자아(예 : 타인의 시선이 존재하는 공적인 장소, 학교, 직장 등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사회적 행동 등)
✔사적 자아(Privite Self) :
타인은 잘 모르는, 자신만이 알고 있는 내적이고 주관적인 자아(예 : 타인의 시선이 존재하지 않는 사적인 장소에서 취하는 행동, 생각 등등)
② 자아의 종류 :
- 자아개념 :
자신이 누구인지를 정의하는 특성, 능력, 태도와 가치에 대한 총체적인 개념. 여기에는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 및 신체, 가족, 외모에 대한 것도 포함된다.
- 자아인식 :
자아인식은 자기와 타인이 서로 독립된 존재라는 주체로서의 인식. 여기에는 평가의 대상인 객체로서의 자기에 대한 인식도 포함된다. 즉, 자아인식은 자기의 역할이나 자기가 속한 집단에 그 기초를 둔다.
- 자아 존중감 :
자신이 가진 특성, 즉 자아개념에 대한 평가적 측면을 말하며, 자신의 가치에 대해 형성한 판단과 그와 관련된 감정을 일컫는다.
- 자아 정체감 :
자아 정체감은 내가 누구이고 앞으로 어떤 사람이 될 것이며, 사회 속에서의 나의 역할은 무엇인가와 같은,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 신념과 목표로 구성되어 있는 안정되고 조직화된 성숙한 자아정의이다.
③ 자아의 출현 :
㉮ 미드(Mead) :
영아는 자신의 모든 욕구가 늘 곁에 있는 양육자에 의해 바로 충족되기 때문에 주위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분화시킬 필요를 느끼지 않고, 아직 자기 자신에 대한 정체감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보았다.
㉯ 자아의 발달 :
신생아 | 주변 환경과 자신을 구분할 수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음 |
1~2개월 | 자신의 신체의 한계를 배워, 외적 대상으로부터 신체적 자아를 분화시킴 |
4~6개월 | 외부 대상을 통제하고 조종할 수 있음 |
2. 자아존중감(self-esteem )
(1) 정의 :
①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이고 가치를 두는 (스스로의) 평가를 의미한다.
②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자아수용과 높은 자아관용으로 호의적으로 타인을 대하고 긍정적 관점으로 보며, 자신의 정서를 조절할 수 있다.
③ 또한 자기 자신에 대해 확고하고 안정되며 통합된 느낌을 갖고, 자신이 어디를 향해 가고 있으며 사회에서는 무슨 일을 하고, 어디에 적합한지를 안다.
(2) 특성 :
① 화이트(White)는 유아기에는 자아존중이 효능감과 빌접하게 관련되어 발달이 진행됨에 따라, 일반적이고 누적적인 능력감과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주장하였다.
② 자아존중감은 신체, 능력, 친구 등 각 특성에 대한 것일 수도 있고, 전체적인 것이 될 수도 있다.
③ 일반적으로 아동중기에서 청소년기까지 자아 존중감의 개인차는 점차 안정되어간다.
④ 자아존중감은 적응과 관련이 크다. 즉, 적절한 자아존중감과 낮은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적응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3) 자아존중감의 발달 :
1~2세 | - 자기중심적인 경향으로 인해 자신의 능력과 사회적 승인을 구별하지 못함 - 목표달성에 대한 기쁨의 표현을 보임 |
3~5세 | - 모든 영역에서 자신이 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 - 몇 가지 분리된 자기평가를 구성함 |
6~10세 | - 자신을 다른 사람의 평가의 대상으로 간주함 - 타인의 수용과 인정의 중요성을 인식함 - 자아평가가 좀 더 정확하고 현실적으로 됨 - 학문적, 사회적, 신체적 요건을 종합하여 총체적 자기상으로 인식함 |
11~15세 | - 자아정체감의 위기에 직면함 - 신체적 성장은 자존감을 높여주지만, 급격한 발달은 청소년의 자존감을 위축시키기도 함 |
(4)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
자신을 가치 있게 여기면서 받아들이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느낌을 측정하는 도구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로젠버그(Rosenberg, 1965)와 하터(Harter, 1985)가 만든 '자아존중감 척도'이다.
자아존중감척도
자신을 가치 있게 여기면서 받아들이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느낌을 측정하는 도구. 자아존중감이란 자신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 및 자기 자신의 능력과 가치에 관한 평가적 정서(Rogen
terms.naver.com
① 사회적 지지 척도(Harter) :
㉮ 아동이 자신의 능력을 어떻게 자각하는가에 초점을 둔 지각된 능력척도를 개발하였다.
㉯ 36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자아개념의 다차원성을 인정하였고, 인지, 사회, 신체 등 자아개념의 구체적인 영역을 제시하였다.
② 자아개념 척도(Piers-Harris) :
초등학교 3학년~12학년 대상으로 80개의 문항으로 되어있으며, '예', '아니오'로 표시하여 응답하는 방식이다.
③ 쿠퍼스미스의 자아존중감 검사(Coopersmith, Self - Esteem Inventory : SEI) :
자아존중감 검사는 일반적 자아와 함께, 사회적(또래), 학문적(학교), 가정적(부모) 맥락 내에서 자아에 대한 태도를 평가한다.
3. 자아정체감(ego identity)
(1) 에릭슨(Erikson)의 자아정체감과 발달과업 :
① 정신분석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에릭 에릭슨은 청소년기를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결정적 시기로 보고, 이를 발달과업 중의 하나로 제시한 바가 있다.
② 심리사회적 유예기간의 특수한 상황을 통해 정체감을 형성한다고 하였다.
③ 자아정체감의 혼미가 직업 선택이나 성 역할 등에 혼란을 가져오기도 하며, 나아가 인생관과 가치관의 확립에 심한 갈등을 야기하기도 하는 것으로 보았다.
④ 따라서 정체감이 확립되지 않으면 역할혼란을 초래한다고 주장하였다.
2021.03.13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②(심리사회적 발달의 8단계, 프로이트와 에릭슨, 무의식과 성적충동, 의식과 사회적충동)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②(심리사회적 발달의 8단계, 프로이트와 에릭슨, 무의식과 성
■ 저번 시간에는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 : 1902~1994)이 제시한 「심리사회적 발달이론(psychosocial development theory)」의 등장배경, 이론의 특징, 그리고 자아(Ego)와 자아정체감(Ego Identity)을..
narrare3.tistory.com
(2) 마샤(마르시아, Marcia)의 자아정체감 :
① 마샤(마르시아)는 에릭슨의 자아정체감 형성이론에서 두 가지 차원, 즉 위기와 수행을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로 보고 이 두 차원의 종합을 통해 자아정체감을 정체감 성취, 정체감 상실, 정체감 유예, 정체감 혼란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② 여기서 위기란 자신의 가치관에 대해 재평가하는 것, 수행은 계획, 가치 신념 등에 대해 능동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상태를 말한다.
③ 즉, 청소년기 동안에 개인이 여러 가지 직업과 신념들 중에서 선택을 하는데 적극적으로 관여된 것 같이 보이는 시기를 말하고, 수행은 직업과 신념에서의 개인이 보여주는 개인의 투자 정도를 일컫는다.
④ 마샤는 에릭슨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개념을 보완하여, 자아정체감을 자신에 대한 태도. 가치. 신념으로 간주하였다.
⑤ 정체감 형성은 정체감 혼미. 유실 → 정체감 유예 → 정체감 성취에 이른다.
⑥ 정체감 성취는 완성된 것이 아니라 형성되는 과정이며, 성인이 되어서도 어러 생활 가운데 정체감 문제에 부딪힐 수 있다.
⑦ 청소년기 초기 자아정체감은 일반적으로 정체감 혼돈이나 유예수준에 머물러 있다. 또한 이들의 정체감 형성에는 부모의 조력이나, 청소년 자신의 미래 전망에 대한 숙고적인 사색이 주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제임스 마샤(마르시아)와 그의 이론에 대한 참조 글 :
제임스 마르시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임스 마르시아(James E. Marcia)는 임상심리학자이자 발달심리학자이다. 마르시아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ritish Columbia) 주(州)의 사이먼프레이저대학교(Simon Fraser University)[1], 뉴욕주 업스테
ko.wikipedia.org
🔳 마샤의 청소년 정체감 이론 :
- 정체감 성취 :
자아정체감의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여 신념, 직업, 정치적 견해 등에 대해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상태이다.
- 정체감 유예 :
현재 정체감 위기의 상태에 있으면서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해 다양한 역할, 신념, 행동 등을 실험하고 있으나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태를 말한다.
- 정체감 유실 :
자신의 신념, 직업선택 등의 중요한 의사결정에 앞서 수많은 대안에 대하여 생각해보지 못하고, 부모나 다른 사람의 역할모델의 가치나 기대 등을 그대로 수용하여, 그들과 비슷한 선택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
- 정체감 혼란(혼미) :
자아에 대해 안정되고 통합적인 견해를 갖는데 실패한 상태를 말한다. 이는 위기를 경험하지 않았고, 직업이나 이념선택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에 관심도 없는 상태이다.
■ 다음 시간에 계속, 자기와 사회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발달 심리학], 사회정서발달, 핵심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