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엘리스의 합리 정서 행동치료 REBT③(치료목표, 계획, 불확실성의 수용, ABCDEF 모델의 예, 반유토피아주의, 논박의 유형)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1. 7. 5.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엘리스의 합리 정서 행동치료(REB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당위적 사고, 파국화, 좌절에 대한 인내심 부족, 자기 및 타인에 대한 비하(질책) 등의 비합리적 신념의 특징, 비합리적 신념의 뿌리를 이루는 3가지 당위성, 비합리적 신념의 종류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1.07.01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심리] - ✔엘리스의 합리 정서 행동치료 REBT②(비합리적 신념, 당위적 사고, 자신에 대한 당위성, 타인에 대한 당위성, 세상에 대한 당위성, 비합리적 신념의 유형)

 

✔엘리스의 합리 정서 행동치료 REBT②(비합리적 신념, 당위적 사고, 자신에 대한 당위성, 타인에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엘리스의 합리 정서 행동치료(REB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REBT의 의의 및 특징, 발전과정, 기본원리, 성격의 측면, 그리고 ABC 모델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

narrare3.tistory.com

 

 

 

3. 치료적 방법론

 

 

(1) 치료 목표 : 

 

① 치료자(상담자)는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자기파괴적이고 자기패배적인 신념을 최소화하며, 현실적이고 관대한 철학을 가지도록 조력한다. 

 

② 즉, 삶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오더라도 그 원인을 스스로의 무기력이나 무능력, 또는 타인의 탓으로 돌리지 않으며,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임으로써 문제에 직면하도록 돕는다. 

 

③ 자기에 대한 관심, 사회에 대한 관심, 자기 지시, 관용, 유연성, 불확실성의 수용, 이행, 과학적 사고, 자기 수용, 모험 실행, 반유토피아주의 등의 구체적인 목표에 도달하도록 한다. 


자기에 대한 관심(Self-interest) :

정서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 완전히 빠져버리지 않으면서도 자신에게 관심을 가질 수 있다.

 

사회에 대한 관심(Social-interest) :

(정서적으로) 건강한 사람음 소외된 실존을 택하지 않으며, 사회집단에서 다른 사람들과 조화롭게 사는 데 관심을 가진다.

 

자기 지시(Self-direction) :

(정서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다른 사람과의 행동이나 지지를 좋아할 수 있으나, 그러한 지지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자신의 삶에 책임을 느낄 수 있으며, 자신의 문제를 독립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관용(Tolerance) :

정서적으로 성숙한 개인은 다른 사람의 실수나 잘못을 수용하며, 그러한 행동을 경멸하지 않는다.

 

유연성(Flexibility) :

정서적으로 건강한 개인은 사고가 유연하고 변화에 개방적이며, 다른 사람들에 대해 고집스럽지 않은 관점을 가지고 있다.

 

불확실성의 수용(Acceptance of Uncertainty) : 

정서적으로 성숙한 개인은 자신이 불확실한 세상에 살고 있음을 인식한다. 비록 질서정연함을 좋아할지라도, 이런 질서나 확실성에 대한 감각을 투덜대며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이행(Commitment) : 

정서적으로 건강한 개인은 자기 외부의 어떤 일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진다. 

 

 

728x90

 

 

과학적 사고(Scientific Thinking) :

정서적으로 성숙한 개인은 깊이 느끼고 확실하게 행동한다. 그러나 또한 자신과 결과에 대해 반성함으로써 그러한 감정과 행동들을 조절해 나간다.

 

자기 수용(Self-acceptance) :

정서적으로 건강한 개인은 그가 살아있다는 것만으로도 자신을 수용하며, 자신의 가치를 외적 성취나 다른 사람과의 비교로 평가하지 않는다.

 

모험 실행(Risk Taking) :

정서적으로 건강한 개인은 어리석게 무엇인가에 빠져들지는 않지만, 한편으로 모험적인 경향을 지닌다.

 

반유토피아주의(Non-utopianism) :

정서적으로 성숙한 개인은 자신이 유토피아적인 실존을 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인다. 그는 자신이 얻고자 하는 모든 것들을 다 얻을 수는 없으며, 원하지 않는 모든 것들을 다 회피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한다. 

 

 

(2) 치료 계획 :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의 구분 :

치료자(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REBT)에 관한 책자나 치료자(상담자)의 설명 등을 통해 REBT의 관점, 논리 등을 내담자에게 교육시킨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을 구분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내담자의 자기보고 및 치료자(상담자)의 관찰을 통한 비합리적 신념의 발견 및 인식 유도

면담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기보고 및 치료자(상담자)의 관찰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적인 문제를 야기한 비합리적 신념을 발견하고, 내담자로 하여금 이를 인식 및 인정하도록 한다. 또한 내담자가 반복적으로 자기패배적인 대화나 사고를 통해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시킨다.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논박 :

치료자(상담자)는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에 대해 내담자가 포기할 때까지 논박한다. 또한 합리적 신념에 대해 예를 들어주거나 시범을 보인다.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기 위한 연습 유도 및 과제 부여

치료자(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도록 연습시킨다.

 

예 : 합리적 신념을 큰 소리로 되뇌게 하기, 자기패배적인 자기대화를 합리적인 자기대화로 바꾸어 말하도록 하기 등등

 

또한 내담자에게 일상생활에서의 비합리적 신념을 찾아내어 이를 스스로 논박하도록 인지적 과제를 부여한다. 이후 면담과정을 통해 내담자가 과제를 제대로 수행했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합리적 행동의 시연 :

치료자(상담자)는 상담의 과정을 통해 개발한 합리적 행동을 내담자에게 시연해보도록 한다. 시연은 예상되는 상황에 대해 미리 상담시간에 그 기술을 실습해 보는 것이다. 

 

새로 학습한 결과의 실제 적용 및 반복적 학습의 지지 :

치료자(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새롭게 학습한 결과를 실제 상황에서 적용해보도록 격려한다. 또한 그에 대한 반복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300x250

 

 

*(3) ABCDEF 모델 : 

 

① A(Activating Event : 선행사건 혹은 촉발사건) :

내담자의 감정을 동요시키거나 내담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을 말한다. 치료자(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한 선행사건이 무엇인지를 포착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한다. 

 

② B(Belief System : 신념체계 혹은 비합리적 신념체계) : 

선행사건에 대한 내담자의 신념체계(혹은 비합리적 신념체계)를 말한다. 내담자의 신념체계는 합리적일 수도, 또는 비합리적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특히 비합리적 신념체계가 문제시된다. 치료자(상담자)는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체계를 명료하게 확인하고 이를 평가한다.

 

③ C(Consequence : 결과) : 

선행사건을 경험한 후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체계를 통해 그 사건을 해석함으로써 느끼게 되는 정서적. 행동적 결과를 말한다. 

 

실제의 치료 장면에서는 내담자가 호소하는 부정적 감정(결과, C)에서 출발하여 그와 같은 감정을 촉발한 사건(A)을 확인하고, 그 사건과 부정적 감정을 매개한 신념체계(B)를 찾아내는 순서로 진행된다.
*[결과(C) → 선행사건(A) → 신념체계(B)]

 

 

④ D(Dispute : 논박) :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비합리적 신념이나 사고에 대해, 그것이 사리(이치)에 부합하는 것인지 논리성. 실용성. 현실성에 비추어 (치료자 또는 상담자가) 반박하는 것으로,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체계를 수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논박'이란
마치 철학자들이 토론을 펼치듯이
어떤 신념의 타당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하는 대화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즉, 단순한 공격이나 무조건적인
반대주장이 아니다. 

 

 

⑤ E(Effect : 효과) : 

논박으로 인해 나타나는 효과로, 내담자가 가진 비합리적 신념을 철저하게 논박하여 합리적인 신념으로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치료자(상담자)는 논박을 통해 내담자로 하여금 비합리적 신념을 포기하고 새로운 신념체계로써 '효율적인 철학(Effective Philosophy)'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⑥ F(Feeling : 감정) : 

내담자는 합리적인 신념으로 인해 '새로운 감정과 행동(New Feelings and Behaviors)'을 나타내게 된다. 즉, 과거 부정적인 감정을 느꼈던 사건에 대해서도 보다 적절하고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되며, 효과적인 행동을 나타내 보임으로써, 보다 적응적인 성격을 가지게 된다. 

 

 

■ ABCDEF 모델의 예 : 

 

A(선행사건) : 아내와 이혼함 → B(비합리적 신념체계) : 이혼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다른 여성과의 만남이나 교제가 불가능할 것이다. 고로 나는 무가치한 존재다) → C(결과) : 우울증, 무기력, 자살 시도 등 →

*[우울증, 무기력, 자살 시도 등의 결과(C, 감정과 행동)를 촉발한 선행사건(A, 아내와의 이혼)을 확인 → 그 사건과 부정적 감정(행동)을 매개한 신념체계(비합리적 신념체계, B)를 찾아낸다]

D(논박) : 이혼하는 것이 과연 자신이 무가치한 존재임을 의미하는 것인가? → E(효과) : 이혼은 누구나 할 수 있다. 설령 이혼했다고 해서 자신이 무가치한 존재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제 나의 인생을 새롭게 설계해야겠다. → F(감정, 새로운 감정) : 자신에 대한 새롭고 긍정적인 태도 및 감정 

* 출처 : [성격심리학], 인지적 관점, 핵심이론 

 

 

반응형

 

 

(4) 논박의 유형 : 

 

기능적 논박(Functional Dispute) : 

 

㉮ 내담자에게 그의 신념과 그에 수반하는 정서, 행동의 실제적 유용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이 지닌 신념, 행동, 정서가 목표를 성취하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이 당신에게 도움이 됩니까?"
"그와 같은 방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을 지속하는 것이 당신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나요?" 등등 

 

㉯ 치료자(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비합리적 신념을 더욱 융통적이고 현실적인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었을 때, 얼마나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을지를 체계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경험적 논박(Empirical Dispute) :

 

㉮ 이것은 내담자가 지니고 있는 신념의 사실적 근거에 대한 평가이다. 즉, 내담자가 가진 신념이 사회적 현실에 얼마나 부합하는가에 대한 평가를 의미한다. 

 

"그와 같은 생각을 뒷받칠할만한 근거(증거)가 있습니까?"
"그 말이 옳다는 근거(증거)가 있습니까?"

 

㉯ 경험적 논박은 비합리적 신념에 기반하고 있는 소망의 타당성을 논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와 같은 신념에 동의를 하는지에 대해 묻는 것도 아니다.

 

즉, *경험적 논박은 신념의 경험적 근거를 찾는 것이지, 선호에 대해 묻는 것이 아니다. 

 

㉰ 이에 치료자(상담자)는 내담자의 바람을 지지하고 그의 염려를 이해하며, 그로 하여금 비합리적 두려움과 합리적 걱정을 구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논리적 논박(Logical Dispute) : 

 

㉮ 이것은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이 기반하고 있는 비논리적 추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내담자의 비논리성은 그의 소망(바람)에 의해 나타나는데, 그것이 꼭 그렇게 되리라는 보장은 없다. 

 

✅ "그 일이 사실이기를 바란다고 해서, 반드시 그렇게 되는 것일까요?"
"A 다음에 B가 반드시 되리라는 논리는 어떻게 나온 것인가요?" 등등 

 

㉯ 예를 들어 내담자의 우울증은 자신의 과거에 대한 회상과 그에 대한 자책, 분노 등과 연관이 있다.

 

이는 자기충족예언으로 되돌아와서 "절대로 내가 원하는 대로 될 수 없을 거야"와 같은 부적절한 신념으로 이어지게 된다. 

 

㉰ 이 경우 치료자(상담자)는 내담자의 완전주의와 비현실적 기대에 대해 논리적으로 논박함으로써, 그로 하여금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시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철학적 논박(Philosophical Dispute) : 

 

㉮ 내담자는 바로 눈앞의 문제에 너무나 몰두해 있는 나머지, 삶의 다른 부분에 내재한 가능성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즉, 내담자는 눈앞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자신의 실존이 위협을 받을 것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요컨대, 철학적 논박은 삶에 대한 만족이라는 주제를 내담자와 함께 다루는 것이다. 

 

"설령 당분간 자신이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지라도 다른 부분에서 만족을 느끼고 행복할 수 있지 않을까요?" 등등

 

㉯ 예를 들어, 갑작스런 해고나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내담자에게 치료자(상담자)는 그와 같은 일을 제외하고도, 그동안 내담자가 잘 살아왔음을 이야기한다.

 

비록 그와 같은 불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게 된 것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결과적으로 인생의 깊은 교훈을 배우게 된 것임을 알려줄 수 있다. 

 

 

■ 지금까지 총 3회에 걸쳐, 엘리스의 합리 정서 행동치료(REBT)에 대해 알아보았다. 

 

* 출처 및 참조 : [성격심리학], 인지적 관점, 핵심이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