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성격이란 무엇인가?②(성격이론과 연구, 히포크라테스의 체액론, 갈렌의 고전적 기질론, 로크와 볼테르, 인간은 백지와 같은 상태로 태어난다, 인본주의, 인지적 관점, 성격강점)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1. 5. 6.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성격에 대한 이론과 연구, 즉 '성격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각 학자들의 성격에 대한 정의, 성격의 특성, 유전과 환경(혹은 쌍둥이 연구와 입양연구, 공유환경과 비공유환경 등)이 개인의 성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성격이란 무엇인가①(성격의 정의, 올포트, 설리반, 프롬, 미첼, 매디, 릭맨, 카버와 샤이어, 버

■ 오늘부터는 '성격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관련 이론과 연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성격의 정의 (1) 성격의 개념 : 성격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 ①올포트(Allport) : 성격은 개인의 특

narrare3.tistory.com

 

 

4. 성격이론의 흐름과 쟁점

 

 

(1) 성격연구의 흐름 : 성격연구의 역사

 

①고대 : 

 

㉮ 고대인들은 생각이나 행동의 개인차가 각자의 출생 당시, 서로 다른 자연현상(계절이나 별자리 등)의 영향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였다. 

 

㉯ 고대 그리스의 의학자인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는 인체를 구성하는 네 가지의 체액, 즉 '혈액(Blood)', '흑담즙(Black Bile)', '황담즙(Yellow Bile)', '점액(Phlegm)' 중 어떤 체액이 우세하느냐에 따라 개인의 성격과 행동방식이 달라진다고 보았다(히포크라테스의 체액론).

 

㉰ 또한 로마의 의학자인 갈렌(Galen)은 히포크라테스의 체액론을 더욱 발전시켜서, 각 체액에 일치하는 기질, 즉 '다혈질(Sanguine)', '우울질(Melancholic)', '담즙질(Choleric)', '점액질(Phlegmatic)'로 개인의 성격을 구분하였다(갈렌의 고전적 기질론). 

 

 

②중세 :

 

㉮ 중세인들은 개인차에 대한 관심은 가지고 있었으나, 성격에 대한 창의적인 연구는 거의 시도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전통적인 교회의 교리. 권위에 따라 인간의 삶은 선과 악이 서로 싸우는 전쟁터이며, 인간은 기본적으로 원죄를 가지고 있는 악한 존재로 태어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 다만, 셰익스피어(Shakespeare), 세르반테스(Cervantes), 디킨스(Dickens) 등의 작가들이 자신들의 문학작품 속에서 인간의 성격을 묘사한 바는 있다. 

 

 

③근대 : 

 

㉮ 근대의 계몽주의 시대에 이르러 사람들은 인간이 기본적으로 악하기만 한 존재는 아니라는 관점을 가지게 되었다. 

 

㉯ 이와 관련하여 로크(Locke)와 볼테르(Voltaire) 등은 인간이 이른바 '백지와 같은 상태(Tabula Rasa)'로 태어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는 이어지는 20세기의 발달심리학과 실험심리학의 여러 개념들의 중요한 토대가 된다. 

 

㉰ 따라서 오랜 역사적 뿌리를 가진 점성학, 수비학, 수상학, 골상학, 관상학 등의 '의사과학(Pseudoscience, 유사과학)'적 접근'이 개인의 성격이나 특성을 파악하여 그의 장래나 운명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성격연구의 일부로 간주하기도 하였다. 

 

 

④현대 :

 

㉮ 크래츠머(Kretschmer)는 신체유형에 관한 관찰을 토대로 성격 및 정신장애를 분류하였고, 셀든(Sheldon)은 기존의 신체유형에 따른 체질론을 발전시켜 3가지의 신체유형, 즉 '내배엽형(Endomorphic Type)', '중배엽형(Mesomorphic Type)', '외배엽형(Ectomorphic Type)'으로 성격을 구분하였다. 

 

㉯ 1908년 칼 융(Carl Jung)이 '단어연상검사(Word Association Test)'를 개발하여 사용하면서, 성격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도되었다. 

 

 

300x250

 

 

(2) 성격연구의 주요 사건들 : 

 

연 도 주 요 사 건
1897년 분트(Wundt)가 독일 라이프치히에 심리학 연구를 위해 실험실을 개설함으로써 현대 심리학의 효시를 이룸
1900년 프로이트(Freud)가 「꿈의 해석(Die Traumdeutung)」을 출간하여, 정신분석이론을 제시함
1906년 구소련의 생리학자인 파블로프(Pavlov)가 고전적 조건화(고전적 조건형성)을 발견함
1917년 미국의 세계 제 1차대전 참전과 함께 집단 심리검사 도구인 '군대 알파(Army α)'와 ''군대 베타(Army β)'가 개발됨
1921년 칼 융(Carl Jung)이 「심리학적 유형(Psychological Types)」을 발표하였으며, 로샤(Rorschach)가 최초의투사적검사인 '로샤검사(Rorschach Test)'를 개발함
1935년 머레이와 모건(Murray & Morgan)이 '주제통각검사(TAT)'를 개발함
1937년 올포트(Allport)가 「성격 : 심리학적 해석(Personality :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을 출간하여 성격심리학 연구의 토대를 제시함
1943년 하더웨이와 매킨리(Hathaway & Mckinley)가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를 개발함
1949년 카텔(Cattell)이 '16성격 요인 검사(16PF)'를 개발함
1952년 미국정신의학협회(APA)가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DSM)」을 출간함
1953년 스키너(Skinner)가 조작적 조건화(조작적 조건형성)의 원리를 발표함
1954년 매슬로우(Maslow)가 「동기와 성격(Motivation and Personality)」을 출간함
1955년 켈리(Kelley)가 「개인적 구성개념의 심리학(The Psychology of Personal Constructs)」을 출간함
1960년 아이젱크(Eysenck)가 성격 3요인 이론을 제시함
1961년 터프스와 크리스탈(Tupes & Chriatal)이 성격 5요인 구조를 제시함
1968년 미첼(Mischel)이 「성격과 평가(Personality and Assessment)」를 출간함
1977년 반두라(Bandura)가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을 출간함
1981년 골드버그(Goldberg)가 성격 5요인에 대해 'Big Five'라는 명칭을 붙임
1985년 코스타와 맥크레이(Costa & McCrae)가 'NEO 성격질문지(NEO-PI)'를 개발함
1994년 클로닝거(Cloninger)가 기질 및 성격검사(TCI)를 개발함

* 출처 : [성격심리학], 성격의 이론과 연구법,

핵심이론

 

 

 

 

5. 성격심리학의 목적 및 관점 

 

 

(1) 성격심리학의 목적 : 

 

①성격심리학은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②성격심리학은 인간의 부적응적인 행동을 개선하며, 더 나아가 개인의 행복을 증진시킨다.

 

③성격심리학은 각각의 이론들에서 중요시하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성격과 관련된 후속 연구를 촉진시킨다. 

 

 

(2) 성격심리학의 5가지 주요 관점 : 

 

①정신역동적 관점 : 

 

㉮ 인간의 내적인 정신구조 및 발달 과정에 관심을 기울이며, 인간의 행동을 유발하는 근원적인 에너지가 무엇인지에 초점을 둔다.

 

㉯ 정신의 에너지, 인간행동이 결정되는 상황적인 맥락, 정신과 환경의 상호작용 등에 따라 성격이 역동적으로 작용한다고 본다.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 융의 분석심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등이 대표적이다. 프로이트와 융은 의식 너머에 있는 무의식에 인간을 움직이는 힘이 존재한다고 생각한 반면, 아들러와 에릭슨은 무의식보다는 의식 속에 인간을 움직이는 힘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②성향적 관점(특질이론적 관점) : 

 

㉮ 성향적 관점은 한 개인의 행동을 분석할 때 그가 처한 상황보다 개인 자체에 더 많은 기초를 두는 것으로, 특히 개인의 특질이나 생물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성격을 설명하는 입장이다.

 

㉯ 특질(Traits)은 개인의 사고, 감정, 행동에서의 일관된 양식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성향적 관점은 모든 인간이 각자 독특하고 안정적인 특질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질들이 성격을 이루는 기본요소가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 또한 문화에 따라 공통적인 특질 및 사람들을 구별해 주는 독특한 특질이 있다고 가정하며, 다른 성격이론들이 문제증상의 치료에 관심을 둔 반면, 성향적 접근은 단지 인간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에만 초점을 둔다.

 

㉱ 올포트와 카텔의 특질이론, 아이젱크의 성격 3요인 이론이 대표적이다. 특히 올포트는 사례연구 등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인간의 독특한 특질을 밝히려고 한 반면에, 카텔은 통계적 기법인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해 인간의 보편적인 특질을 밝히려고 하였다. 또한 아이젱크는 인간 성격의 생물학적 영향력을 강조함으로써, '생물학적 유형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728x90

 

 

③인본주의적 관점(현상학적 관점) : 

 

㉮ 각 개인이 지각하는 주관적인 현실을 중시하며, 특히 현상학적 관점에서 개인의 주관적 경험의 고유성과 가치를 인정한다. 즉, 과거가 아닌 현재, '여기 - 지금(Here & Now)'을 강조한다. 

 

㉯ 모든 인간은 존엄하고 무한한 가능성이 있으며, 스스로 자신의 삶을 창조해 나가는 긍정적인 존재로 여긴다.

 

㉰ 매슬로우의 인본주의이론(자기실현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이론, 프랭클린의 실존주의적 접근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이 관점은 철학적 입장을 포함하며, 현상학과 실존주의를 토대로 인간의 가치와 자유의지를 강조한다.

 

 

④행동주의 및 사회학습적 관점 : 

 

㉮ 개인의 내면적 요인보다는 환경적 요인을 강조한 것으로, 행동주의는 환경에 의해 학습되거나 강화된 행동, 또는 습관적 행동으로써 개인의 성격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학습은 인간이 환경과 사건을 통해 배우게 되는 경험과 연습에 의해 나타나는 비교적 연속적인 변화를 강조한다. 

 

㉰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에 기반을 둔 신행동주의 이론, 반두라와 로터의 사회학습이론 등이 대표적이다. 초기의 행동주의이론이 인간의 성격에 대한 개념 자체에 관심을 두지 않았던 반면, 현대 심리학의 추세에 따라 반두라와 로터 등은 학습에서 인간행동에 선행되는 인지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가 있다. 

 

 

⑤인지주의적 관점 :

 

㉮ 인지주의적 관점은 개인의 성격과 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인지(cognition)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개개인이 갖는 인지에 따라 정서 및 행동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 즉, 현재 개인에게 주어진 어떤 상황 자체보다는 그 개인의 내적인 인지구조가 어떠한가에 따라서 상황에 대한 해석이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다. 

 

㉰ 엘리스와 벡의 성격에 대한 인지적 접근, 켈리의 개인적 구성개념 이론 등이 대표적이다. 트히 엘리스는 개인의 신념체계를, 벡은 개인의 인지도식을, 켈리는 개인적 구성개념을 성격과 연관시켰다. 

 

 

반응형

 

 

(3) 성격심리학의 최근 추세 : 

 

①성격 분석단위의 다양화 :

성격의 분석단위가 특질(Trait), 도식(Schema), 심리양식(Mode), 행동각본(Script)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성격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하거나 이해하기가 좀 더 용이해졌다. 

 

②성격과 상황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 

'개인 - 상황 논쟁(Person - Situation Controversy)' 이 개인의 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성격요인의 설명력에 의문을 제기한 이후, 최근 개인의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상황요인은 물론 성격요인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③인지적 요인의 중요성 부각 :

개인이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행동은 달라진다. 즉, 사회적 상황을 해석하는 방식이 개인의 성격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④성격에 대한 생물학적 관점으로의 활발한 접근 :

최근에는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인간의 성격과 행동을 설명하려는 다각적인 시도가 전개되고 있다. 또한 유전생물학과 신경과학이 유전적요인과 뇌의 신경생리학에 기초하여 개인의 성격과 행동을 설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⑤성격장애 및 성격강점에 대한 관심의 고조 :

최근에는 성격장애의 심리적 특성을 다각적으로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긍정심리학 등의 발전으로, 성격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 출처 및 참조 : [성격심리학], 성격의 이론과 연구법, 핵심이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