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93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이론③(의사결정을 위한 전제조건, 성격의 문화적 영향, 우리의 지배적 문화조건, 남성 심리학과 여성 심리학) ■ 지난 시간에는 카렌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이론 중 신경증적 욕구(Neurotic Needs), 이에 따라 그녀가 제시한 「애정과 인정(Affection and Approval)」을 포함한 '10가지의 신경증적 욕구', 신경증의 경향성 3가지, 즉 타인을 향해 나아가는 태도, 타인에 대항하는 태도, 타인을 회피하는 태도,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 당위성의 횡포, 특히 '해야만 한다는 것의 압제'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2021. 2. 13.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이론②(신경증적 욕구, 신경증적 경향성, 타인을 향해 나아가는 태도, 타인에 대항하는 태도, 타인을 회피하는 태도, 신프로이트학파,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 ■ 저번 시간에는 유럽에서 유럽으로, 그리고 유럽에서 미국으로 건너갔던 프로이트의 이론과, 특히 미국에서 비약적 발전과 확장을 이루게 되는데 가장 크게 공헌했던 이른바 "신프로이트 학파(neo-freudians)"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신프로이트 학파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프로이트의 이론을 일정부분 수용하면서 그가 큰 관심을 두지 않았던 사회적.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지지가 그 특징인데, '후기 프로이트 학파'라고 불리기도 하는 이들에는 알프레드 아들러와 칼 구스타프 융이 포함되며(이들이 '신 프로이트 학파 혹은 '후기 프로이트 학파'의 시조라고 할 수 있다), 에릭 프롬, 에릭 에릭슨, 설리반, 카렌 호나이, 라파포트 등이 대표적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 최초의 여성정신과 의사 중 한 명.. 2021. 2. 9.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이론①(카렌 호나이, 신프로이트 학파, 안전과 사랑의 욕구, 기본적 불안, 기본적 악,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 ◆ 오늘부터는 "신경증적 성격이론"으로 유명한 카렌 호나이(Karen Horney, 1885~1952)와 그의 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프로이트 이론의 수정과 발전 : 여러분들도 잘 아시다시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은 유럽에서 유럽으로, 특히 유럽에서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비약적으로 수정. 발전되기에 이른다. 프로이트와 한때 뜻을 같이 하는 동지였으나 후에 독자적인 길을 걷게 되는 두 거장, 알프레드 아들러와 칼 구스타프 융을 필두로, 지나치게 생물학적이고 기계적인, 또한 남성우월적이고 인간의 모든 욕구를 '성(性)' 하나만으로 집약시킨 프로이트의 이론은 반론에 부딪히고 수정되어갔으며, 프로이트가 특별히 관심을 쏟지 않았던 '사회적(이고 환경적인) 관점'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그도 그럴 것이,.. 2021. 2. 6.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③(아동기, 청년기 및 성인초기, 중년기, 노년기, 외향형, 내향형, MBTI, 사고, 감정, 감각, 직관, 보상적 기능, 합리적 기능, 비합리적 기능, 프로이트와 융) ■ 저번 시간에는 칼 융이 제시한 '원형(Archetype ; 집단무의식을 구성하고 있는, 인류의 역사를 통해 물려받은 정신적 소양. 꿈이나 신화, 예술 등에 나타나는 상징을 통해서 표현된다)'의 주요 종류인 자기(Self), 페르소나(Persona), 그림자(Shadow), 그리고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에 대해 말씀드렸다.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②(자기(Self), 자기실현, 페르소나, 사회적 가면, 융의 그림자, 아 ◆ 저번 시간에는 칼 구스타프 융이 제시한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의 등장배경, 프로이트와 그의 관계, 리비도(Libido)를 필두로 한 두 사람의 견해 차이,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특징, 그리고 narrare3.tis.. 2021. 2. 2.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②(자기(Self), 자기실현, 페르소나, 사회적 가면, 융의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 Logos, Eros, 원형) ◆ 저번 시간에는 칼 구스타프 융이 제시한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의 등장배경, 프로이트와 그의 관계, 리비도(Libido)를 필두로 한 두 사람의 견해 차이,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특징, 그리고 개인무의식, 집단무의식, 콤플렉스, 아니마와 아니무스 등 분석심리학 이론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①(프로이트와 칼 융, 프로이트와 융의 편지, 리비도, 심리유형 ◆ 오늘부터는 칼 융(카를 구스타프 융, 1875~1961)이 제시한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다. 1. 분석심리학의 등장배경 : 때는 20세기 초인 1903년, 스위스의 부르그홀 narrare3.tistory.com 오늘은 융이.. 2021. 1. 30.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①(프로이트와 칼 융, 프로이트와 융의 편지, 리비도, 심리유형론, 개인무의식, 집단무의식, 콤플렉스, 원형, 정신, 자기(Self), 만다라) ◆ 오늘부터는 칼 융(카를 구스타프 융, 1875~1961)이 제시한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다.    1. 분석심리학의 등장배경 :   때는 20세기 초인 1903년, 스위스의 부르그홀츨라이(Burgholzli) 정신병원에서 일하고 있던 칼 융은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The Interpretation of Dreams)」을 읽게 된다.  융은 당시 개인의 무의식을 탐구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페히너와 골턴이라는 사람들이 기존에 고안했던 '단어 연상 검사(단어 연상 실험, word association test)' 를 활용하고 있었는데, 「꿈의 해석」을 통해 인간의 마음에 대한 자신의 연구와 프로이트의 연구가 연관성이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렇게 해.. 2021. 1. 26.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③(출생순위, 형제관계, 인성발달, 심리적 순위, 프로이트와 아들러 이론의 비교) ■ 저번 시간에 우리들은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의 창시자 알프레드 아들러가 제시한 주요개념 중 생활양식, 생활양식의 4가지 유형, 창조적 자기, 가상적 목표(허구적 최종 목적론), 그리고 초기 기억 또는 초기 추억에 대해 알아보았다.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②(알프레드 아들러, 생활양식, 생활양식의 4가지 유형, 창조적 자기 ■ 저번 시간에 이어 오늘도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 1870~1937)의 개인심리학의 주요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들러(Adler)의 개인 심리학①(프로이트와 아들러의 차이점, 총체적 존 narrare3.tistory.com 오늘은 말씀드린대로, 출생순위와 형제관계에 대.. 2021. 1. 22.
728x90
반응형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