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설리반의 대인관계이론②(타인과 교류하는 3가지 경험양식, 원형적 경험, 병렬적 경험, 통합적 경험, 해리, 병렬적 왜곡, 승화)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1. 2. 23.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는 설리반(Harry Stack Sullivan)이 주창한 「대인관계이론(대인관계 정신분석 ; Interpersonal Psychooanalysis)」의 등장배경, 이론의 특징,

 

그리고 대인관계이론의 개념, 즉 역동성(Dynamism), 자기체계(Self - System), 자기상 형성 또는 자기의 정형화(Personification of Self) 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설리반의 대인관계 이론①(대인관계 정신분석, 대인관계 치료, IPT, 자기체계, 역동성, 자아보

■ 오늘부터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이 성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문화적 요인들을 간과했다고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서 「대인관계 정신분석(Interpersonal Psychooanalysis)」를 제시한

narrare3.tistory.com

 

 

 

 

■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서, 설리반이 주장한 타인과 교류하는 3가지 경험양식(소통방식), 그리고 성격의 방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타인과 교류하는 3가지 경험양식(소통방식) : 

 

원형적 경험 또는 미분화된 소통(Prototaxic Communication) : 

 

이것은 인생초기의 원초적 경험으로, 생후 몇 개월 동안 유아에게서 나타나는데, 단순하고 직접적으로 지각하는 감각과 감정을 수반하며, 상호 간의 어떤 관련성을 이끌어내지 않은 채 즉각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관련이 없으며, 비조직적이고 순간적인데, 새로운 경험의 영향으로 묻혀버린다고 주장하였다. 

 

병렬적 경험 또는 현실괴리적 소통(Parataxic Communication) : 

 

㉮ 유아는 처음에는 논리적으로 서로 관련이 없는 사건들을 서로 연결시키려고 시도하지만, 점차로 병렬적 사고를 통해 자신과 자신이 아닌 것을 구별하기 시작하며, 아직 초보적인 단계이기는 하지만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를 사용한다. 

 

㉯ 하지만 이것은 여전히 비논리적이고 경직되어 있으며, 자기체계를 확증하기 위해 타인의 반응을 편향된 방향으로 몰아가는 제한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 설리반은 대인관계의 병렬적 왜곡을 통해 형성한 자기와 타인에 대한 경직된 심상을 '정형화(Personification)'라고 불렀다. '좋은 나(Good Me)', '나쁜 나(Bad Me)', '내가 아닌 나(Not Me)'는 바로 이러한 정형화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

 

 

통합적 경험 또는 통합적 소통(Syntaxic Communication) : 

 

 

㉮ 통합적 경험 또는 소통은 물리적. 공간적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능력, 결과에 대한 지식으로부터 그 원인을 유추할 수 있는 능력을 전제로 한다.

 

㉯ 개인은 통합적 사고를 통해 논리적 관계를 학습하며, 비논리적인 것에 대한 자신의 지각을 검증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현실을 유연하게 수용하고 통합하는, 성숙한 정서적 교류의 방식으로 본다. 

 

㉰ 설리반은 이에 대해 「현실을 왜곡하여 부적응적 대인관계를 야기하는 개인의 병렬적 소통을, 점진적으로 통합적 소통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타인과의 성숙한 대인관계로 유도할 것」을 강조한 바 있다.

 

 

728x90

 

 

 

 

 

2. 성격의 방어(Personality defense) : 

 

설리반이 제시한 대인관계이론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성격의 방어는 아래와 같다.

 

①해리(Dissociation) : 

해리는 무의식적 방어기제 중 하나로, 자기 역동성과 부합하지 않는 태도, 행동, 욕망을 의식적 자각으로부터 배제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자기를 보호하고 자기에게 위협적인 것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특히 사회적으로 수용할 수 없고 불쾌한 경험은 보지도, 듣지도 않으려고 한다. 

 

다시 말해, 불안을 야기하는 모든 현실적 측면을 배제시킨다는 점에서 이를 '선택적 부주의(Selective Inattention)'라고도 부른다. 

 

 

300x250

 

 

②병렬적 왜곡(Parataxic Distortion) : 

병렬적 왜곡은 타인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 자신이 경험해 온 부적합한 관계에 의해 편향되거나 왜곡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개인의 인생 초기에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가족 분위기에서 형성된 대인관계는, 후에 개인이 성장하여 겪는 직장생활에서 고용주와 피고용인 간의 현재 관계를 왜곡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③승화(Sublimation) :

승화는 자신의 혼란스럽고 위협적인 충동을 사회적으로 수용되고 자기향상적인 충동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격투기 선수는 사회적으로 수용되기 어려운 자신의 공격적 충동을 스포츠인 '격투기 운동'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 출처 : [성격심리학], 정신역동, 핵심이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