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향성과 내향성(심리학 용어, MBTI, 칼 융, 리비도, 프로이트, 집단무의식, 성격유형, 사고, 감정, 감각, 직관, 콤플렉스, 마이어스 브릭스)
◆ 저번 시간에는 실패를 예측하여 그 원인이 자신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기 위해 미리 예방선을 치는 것을 일컫는 말인 '자기불구화(Self-Handicapping)'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자기불구화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1.12.25 - [이야기가 있는 정원, 궁금한 심리학 용어] - ✔자기불구화(Self-Handicapping, 행동 불구화, 주장 자기불구화, 사례, 에드워드 존스, 스티븐 버글라스, 심리학 용어, 핑계, 외적 귀인, 자기파멸 행동) ✔자기불구화(Self-Handicapping, 행동 불구화, 주장 자기불구화, 사례, 에드워드 존스, 스티븐 버글 ◆ 저번 시간에는 "어떤 생활체를 활동하도록 자극하여 의도하는 목표로 향하게 하는 것"을 일..
2022. 1. 8.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①(프로이트와 칼 융, 프로이트와 융의 편지, 리비도, 심리유형론, 개인무의식, 집단무의식, 콤플렉스, 원형, 정신, 자기(Self), 만다라)
◆ 오늘부터는 칼 융(카를 구스타프 융, 1875~1961)이 제시한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다. 1. 분석심리학의 등장배경 : 때는 20세기 초인 1903년, 스위스의 부르그홀츨라이(Burgholzli) 정신병원에서 일하고 있던 칼 융은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The Interpretation of Dreams)」을 읽게 된다. 융은 당시 개인의 무의식을 탐구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페히너와 골턴이라는 사람들이 기존에 고안했던 '단어 연상 검사(단어 연상 실험, word association test)' 를 활용하고 있었는데, 「꿈의 해석」을 통해 인간의 마음에 대한 자신의 연구와 프로이트의 연구가 연관성이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렇게 해..
2021.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