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가족 상담의 실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가족 평가의 개요, 상담 단계별 가족 평가, 질적 가족 평가 방법(동적 가족화, 합동 가족화, 가계도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③ 객관적(양적) 가족 평가 방법 :
㉮ 가족 환경 모델 :
1974년 무스(Moos) 등이 사회 생태학적 관점에서 하나의 사회 집단인 가족에 대해 그 기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가족의 기능에 관계된 90개 항목을 추출하여 요인 분석을 통해 10개 항목군을 정하고 가족 환경 척도(Family Environment Scale, FES)로 제작하였는데, 이것을 다시 '관계 차원', '개인 성장 차원', '체계 유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 비버스의 체계 모델(가족 체제 건강의 비버스 모델, Beavers model of family system health) :
비버스(Beavers)의 체계 모델은 비버스와 그의 동료가 일반 체계 이론의 원리에 기초를 두고, 가족은 물론 개인을 포함하는 모든 생활 체계는 혼란스러운 역기능적 체계에서 엄격한 통제 지향적 체계로 더 나아가, 보다 자율적이고 융통성 있고 적응적인 체계로 나아간다는 가정에 의존하고 있다.
💬 비버스 모델은 1976년에 발표한 팀버론재단의 건강가족연구에서 시작되었고 1990년에 비버스(Beavers)와 햄슨(Hampson)이 공동 집필한 서적으로 완성되었다.
비버스는 건강한 최적의 가족에서는 가족원 간의 친밀감이 추구되고 실현된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각 가족구성원의 선택과 사고가 중시되며, 적절한 타협으로 가족체제 전체가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높다고 하였다. 가족체제의 심리적 건강에 대해 임상심리학적으로 척도화한 이 모델은 2차원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종축에는 상방향으로 구심적 가족양식을, 하방향으로 원심적 가족양식을 척도화하였다. 횡축에는 중독적 역기능, 경계적 역기능, 경련, 약간 건강, 고도 건강의 5단계로 상호작용 관찰에 입각한 병리성을 척도화하였다.
표본수는 많지 않지만 다수의 사례를 비디오 녹음을 통하여 살아 있는 상호작용을 관찰하였고, 조현병(정신분열병) 환자가 포함된 가족부터 건강한 가족까지 대상 범위가 넓다는 점에서 비버스 모델은 임상심리학적으로 매우 실용적인 모델이라 할 수 있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가족체제 건강의 비버스 모델
[Beavers model of family system health, 家族體制健康-]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 비버스의 체계 모델에서는 가족 기능이 증상이나 유형보다도 우선한다는 가정 하에, '유능성'과 '유형'이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가족 기능에 대한 개념적 지도를 구성하였다.
가 족 구 조 | - 권력 분포, 세대 간 경계와 같은 개념 포함 |
가족신화/신념 | - 가족의 습관적이며 근거없는 왜곡된 사고 방식 - 가족의 전반적인 이데올로기에 관한 것 - 가족 구성원 개인 또는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에 대한 잘못된 기대와 공유된 믿음 - 가족 구성원들이 의심 없이 공유하여, 현실 왜곡 혹은 현실 부정의 요소를 가지기도 함 |
목표 지향적인 협상 | - 유능한 가족은 효율적인 문제 해결을 이루는 반면, 역기능 가족은 위험을 통해 문제 해결 |
자 율 성 | - 침투성, 책임감, 표현의 명확성을 포함함 |
가 족 정 서 | - 가족 정서에 관한 이슈로, 정서, 분위기, 감정이입, 미결된 갈등을 포함 |
전반적 가족 건강 상태/병리 상태 | - 전반적인 가족 건강 상태와 병리 상태 |
- '가족 유능성'은 어떤 범주적인 유형이 아닌, 가족을 연속선으로 나타내는 무한적 개념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두 번째 차원은 '가족 유형(Family Style)'이라 명명한 관계적 차원으로 구심성 가족 상호 작용과 원심성 가족 상호 작용에 대한 개념이다. '구심성 가족'은 외부 세계 보다는 가족 내부에서 만족감을 얻는 반면, '원심성 가족'은 가족 내부에서 보다 외부 세계에서 더 많은 만족감을 얻는다.
구심성 가족 | - 스트레스를 겪을 때 내부로 향함 - 가족 내부의 관계가 가족 외부의 관계 보다 우선 순위. 경계선 불분명, 혼란스러운 의사 소통 유형 |
원심성 가족 | - 어려운 일이 생기면, 가족으로부터 멀어지고 외부로 향함 - 양육적인 가정 환경을 볼 수 없음 - 가족 구성원 간 애정이 거의 없음 - 개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가족의 외부로 향함 |
- 비버스(Beavers)에 따르면 건강한 가족은 극단적으로 원심적이거나 구심적이지 않은 형태, 즉 균형적인 가족 스타일을 가진다고 하였다.
- 또한 그는 가족 역량(유능성) 요인과 가족 유형 요인을 활용하여, 가족 기능 및 역기능의 정도에 따라 크게 아래의 *4가지의 가족 체계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건강한 가족 :
- 최적의 가족과 적절한 가족 유형이 이에 속한다.
- 이 가족은 적절하게 기능하며, 가족 구성원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거의 겪지 않는다.
✔중간 범위 가족 :
- 가족 역량 차원에서는 중간 수준에 속하는 가족이다.
- 가족 양식의 수준에 따라 중간 범위의 구심성 가족, 중간 범위의 원심성 가족, 중간 범위의 혼합 가족의 세 유형이 이에 속한다.
- 이 가족은 가벼운 행동 장애와 신경증적인 증세를 보인다.
✔경계선상의 가족 :
- 가족 양식에 따라 경계선상의 구심성 가족과 경계선상의 원심성 가족으로 분류된다.
- 경계선상의 가족은 가족 내에서 안정되고 통제지향적인 상호작용을 확립하는데, 중간 범위의 가족들보다 효과적이지 못하여 가족 구성원은 자신과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한 의식이나 통찰이 거의 없다.
- 이 유형의 자녀는 불안정한 성격 혼란을 겪거나 강박관념이나 식욕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하게 혼란스러운 가족 :
- 가족 역량 차원에서 가장 낮은 형태이다.
- 가족 양식 수준에 따라 심하게 혼란스러운 구심성 가족과 심하게 혼란스러운 원심성 가족이 이 유형에 속한다.
- 가족 구성원들은 관심을 공유할 수 없어 결국 갈등해결이 불가능하게 된다.
- 이것으로 자녀들은 가끔 정신분열증(=조현병)이나 반사회적 경향을 나타내기도 한다.
■ 다음 시간에 계속, 가족 상담의 실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학교 심리학], 학교 심리학에서의 개입, 핵심 이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