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설리반의 대인관계 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카렌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 이론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3. 설리반의 대인관계 이론
설리반(Harry Stack Sullivan, 1892~1949)은 미국의 정신과 의사이다.
그는 성격(personality)이 사람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개인 간 상호작용과 다른 사람과의 대인관계에서 계속적으로 펼쳐지는 어떤 것이라는, 이른바 대인관계 이론(Interpersonal Development Theory)을 주장하고 정립시켰다.
즉, 그의 이론은 프로이트의 고전적 정신분석이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사회적 . 문화적 요소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1) 의의 및 특징 :
① 기본 가정 :
㉮ 개인의 성격과 정신병리를 대인관계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설명하고자 하였다.
㉯ 개인은 심리내적인(Intrapersonal) 것이 아닌 대인관계적인(Interpersonal) 것이다.
㉰ 성격은 생리적 욕구와 사회적 안전감의 욕구에서 야기되는 긴장에 의해 결정된다.
㉱ 인간은 사회적 안전감의 욕구가 좌절될 때 불안을 경험한다고 주장한다.
㉲ 대인관계는 불안을 유발하는 주요요인으로, 개인의 자기가치감과 유능감을 위협하며 자기존중감을 손상시키기도 한다.
㉳ 아동은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기체계(Self - System)를 발달시킨다.
㉴ 대인관계의 목표는 자기체계를 확인하고 강화하기 위해, 타인으로부터 자기체계와 일치하는 반응을 유발하는 것이다.
㉵ 성격의 방어를 위해 자기체계와 일치하지 않은 정보를 배제하거나, 타인으로 하여금 자기체계에 일치하는 반응을 보이도록 유도한다.
② 주요 개념 :
㉮ 역동성(Dynamism) :
- 개인의 대인관계 및 정서적 기능을 특징짓는, 비교적 지속적인 에너지 변형의 패턴이다.
- 역동성 에너지의 원천은 개인의 욕구에 있으며, 에너지 변형은 어떤 형태의 행동으로 나타난다.
- 성격 연구의 가장 작은 요소이다.
㉯ 자기체계(Self - System) :
-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자신에 대한 인식의 집합체이자 안정된 자기표상이다.
- 타인과의 접촉에서 타인에 의해 반영된 평가 혹은 자신이 타인에게 얼마나 가치 있게 여겨지는지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발달한다.
-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정서적 안전감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안전작동기제인 만큼 자기보호체계(Self - Protecting System)로 설명될 수 있다.
- 개인이 정서적인 안전감을 추구하기 위해 대인관계에서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자신만의 독특한 전략이다.
- 자기체계와 진정한 자기 간의 간격이 커질수록 정신분열적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자기상 형성 또는 자기의 정형화(Personification of Self) :
- 상황에 따른 불안의 수준(Gradient of Anxiety)은 발달의 주요 결정 요인으로 적용된다.
- 유아는 어머니(혹은 주양육자)와의 관계에서 여러 수준의 불안을 경험하며, 그 과정에서 '좋은 나', '나쁜 나', '내가 아닌 나'로 구성된 자기상을 형성한다.
✔좋은 나(Good Me) :
- 유아가 어머니와 안정감 있고 만족스러운 관계를 경험하면서, 자신에게 주어진 긍정적 피드백을 토대로 형성한 자기상을 말한다.
- 어머니가 유아의 반응에 온화하게 대하고 칭찬 등 적절한 보상을 해 주면, 유아는 좋은 나의 자기 지각을 형성하게 된다.
✔나쁜 나(Bad Me) :
- 유아의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불안정하고 과민한 반응이 내재화된 자기상을 말한다.
- 어머니가 양육하면서 불안과 긴장을 느끼게 될 때 유아의 특정 행동(예 : 울음을 그치지 않는 행동)에 과민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이는 유아로 하여금 불안을 야기한다.
✔내가 아닌 나(Not Me) :
- 참을 수 없는 강렬한 불안을 경험하면서 자신의 것이 아닌 것으로 거부된 자신의 부분이다.
- 불안이 클 경우 현실과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그로 인해 유아는 자신이 경험하는 것들을 제대로 조직화하지 못하게 된다.
(2) 성격의 방어 :
① 해리(Dissociation) :
㉮ 자기역동성과 부합하지 않는 태도, 행동, 욕망을 의식적 자각으로부터 배제시키는 것을 말한다.
㉯ 불안을 야기하는 모든 현실적 측면을 배제시킨다는 점에서 '선택적 부주의(Selective Inattention)'라고도 부른다.
의식과 동떨어진 상태에서
자기 자신의 한 부분이
분열되는 것으로,
현실적인 상황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채
그것을 경험하는 마음의 상태
- 출처 : [네이버 지식 백과]
상담학 사전
② 병렬적 왜곡(Parataxic Distortion) :
㉮ 타인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 자신이 경험해온 부적합한 관계에 의해 편향되거나 왜곡되는 것을 말한다.
㉯ 예를 들면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가족 분위기에서 형성된 초기 대인관계는 고용주와 피고용인 간의 현재 관계를 왜곡시킨다.
㉰ 승화(Sublimation) :
㉮ 자신의 혼란스럽고 위협적인 충동을 사회적으로 수용되고 자기향상적인 충동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 예를 들어 격투기 선수는 사회적으로 수용되기 어려운 자신의 공격적 충동을 격투기 운동으로 승화시킨다.
억압된 충동이나 욕구를
사회적으로 인정되거나
가치 있는 방향으로 표현하고
충족시키는 것
- 출처 : [네이버 지식 백과]
상담학 사전
■ 다음 시간에 계속, 다양한 정신역동적 심리 치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임상 심리학], 정신분석과 정신역동 치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