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가 있는 정원, 임상 심리

✔[임상 심리학]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 MMPI⑤(MMPI-2, 임상척도, 척도 1 건강염려증, 척도 2 우울증, 척도 3 히스테리, 척도 4 반사회성, 전환장애, 합리화, 주지화, 방어기제)

by 이야기가 있는 정원 2023. 8. 28.
728x90
반응형
728x170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MMP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MMPI 중 FBS 척도, L척도, K척도, S척도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란다. 

 

2023.08.24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임상 심리] - ✔[임상 심리학]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④(MMPI, FBS 척도, L척도, 부인 척도, K척도, 교정 척도, S척도, 과장된 자기제시 척도, MMPI-2 주요 타당도 척도 구분)

 

✔[임상 심리학]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④(MMPI, FBS 척도, L척도, 부인 척도, K척도, 교정 척도,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MMP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타당도 척도 중 ? 척도, VRIN, TRIN, F척도, FB, FP척도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여 주시

narrare3.tistory.com

 

 

(11) 임상 척도 : 

 

 

① 척도 1 Hs(Hypochondriasis, 건강 염려증) :

 

 

㉮ 심기증(Hypochondria) 척도로, 수검자의 신체적 기능 및 건강에 대한 과도하고 병적인 관심을 반영한다.

 

✅ 심기증 : 자기의 건강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염려하는 상태.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심기증

 

 

㉯ 원판 MMPI에서는 총 3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나, MMPI-2에서는 내용상 문제가 있는 문항을 한 개 삭제하여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대부분의 문항들이 다른 임상척도에서도 채점되며, 특히 척도 3 Hy(히스테리)와 중복되어 같은 방향으로 채점이 이루어진다.

 

㉱ 측정 결과가 65T 이상인 경우 만성적인 경향이 있는 모호한 여러 신체 증상들을 호소한다. 일반적으로 불행함을 느끼고 자기중심적이며, 애처롭게 호소하는 동시에 적대적이고 타인의 주의집중을 바란다. 또한 자신의 병을 구실로 다른 사람을 조종하고 지배하려고 한다.

 

㉲ 측정 결과가 80T 이상인 경우 극적이면서도 기이한 신체적 염려를 지니고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척도 3 Hy도 매우 높다면,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300x250

 

 

 

 

전환장애

의학적 원인으로 설명할 수 없는 운동기능이나 감각기능에서의 결함 또는 이와 관련된 신체증상. 전환장애의 예를 들면 신체의 마비, 눈이 안 보이는 것, 귀가 안 들리는 것, 보행이 어려운 것

terms.naver.com

 

 

㉳ 측정 결과가 낮은 경우 낙천적이고 통찰력이 있으며, 건강에 대한 염려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다만, 측정 결과가 30T 이하로 매우 낮은 경우 자신의 건강에 대한 걱정 및 신체적 결함에 대한 강한 부정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② 척도 2 D(Depression, 우울증) :

 

 

㉮ 검사의 수행 당시 수검자의 우울한 기분, 즉 상대적인 기분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척도이다.

 

㉯ 원판 MMPI에서는 총 6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나, MMPI-2에서는 그 중 3문항이 제외되어 총 5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5개의 소척도, 즉 주관적 우울감(D1 - Subjective Depression), 정신운동 지체(D2 - Psychomotor Retardation), 신체적 기능 장애(D3 - Physical Malfunctioning), 둔감성(D4 - Mental Dullness), 깊은 근심(D5 - Brooding)으로 이루어져 있다.

 

㉱ 주로 내인성 우울증보다는 외인성 우울증을 측정하므로, 척도 점수는 수검자의 현재 기분 상태에 의해 변할 수 있다.

 

㉲ 수검자의 자기 자신 및 생활 환경에서의 안정감 또는 만족감을 파악하는 지표로도 활용된다.

 

㉳ 측정 결과가 70T 이상인 경우 우울하고 비관적이며, 근심이 많고 무기력하다. 또한 지나치게 억제적이며 쉽게 죄의식을 느낀다. 특히 점수 증가는 심리적인 고통, 변화나 증상 완화에 대한 소망을 반영하기도 한다.

 

㉴ 측정 결과가 낮은 경우 우울이나 비관적 성향이 없이 사교적이고 낙천적이며, 사고나 행동에서 자유로움을 의미한다. 그런 한편으로, 오히려 주의력 부족이나 자기과시적 성향을 시사하기도 한다. 

 

 

③ 척도 3 Hy(Hysteria, 히스테리) : 

 

 

㉮ 현실적 어려움이나 갈등을 회피하는 방법으로 부인기제를 사용하는 성향 및 정도를 반영한다.

 

㉯ 원판 MMPI의 총 60개의 문항이 MMPI-2에서도 유지되었다.

 

㉰ 5개의 소척도, 즉 사회적 불안의 부인(Hy1 - Denial of Social Anxiety), 애정 욕구(Hy2 - Need for Affection), 권태-무기력(Hy3 - Lassitude-Malaise), 신체 증상 호소(Hy4 - Somatic Complaints), 공격성 억제(Hy5 - Inhibition of Aggression)로 이루어져 있다.

 

㉱ 전환성 히스테리 경향의 지표로, 스트레스로 인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신체마비, 소화불량, 심장 이상 등의 신체적 기능 장애나, 신경쇠약, 의식상실, 발작 등의 심리적 기능 장애와 연관된다. 특히 척도 3에 속하는 문항들은 척도 1 Hs(건강염려증)와 중복되어 같은 방향으로 채점이 이루어진다.

 

㉲ 척도 3의 점수는 수검자의 지능, 교육 수준, 사회경제적 위치 등과 연관이 있으며, 특히 지능 및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척도 3의 점수 또한 높게 나온다.

 

 

728x90

 

 

㉳ 측정 결과가 70T 이상인 경우 유아적이고 의존적이며, 자기도취적이고 요구가 많다. 또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특수한 신체 증상을 나타내 보이며, 스트레스 처리에 있어서 부인 또는 *부정(Denial), 억압(Repression)의 신경증적 방어기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측정 결과가 80T 이상으로 현저히 높은 사람은 신체적 증상을 이용하여 책임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 측정 결과가 낮은 경우 논리적이고 냉소적이며, 정서적으로 둔감하고 흥미의 범위가 좁다. 특히 이와 같은 낮은 점수는 타인에 대한 비우호적인 성향과 사회적인 고립상태를 반영하기도 한다.

 

 

2021.01.09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성격심리] - ✔까칠남 프로이트, 무의식을 해석하다④(방어기제, 자아방어기제, 투사, 합리화, 부인, 정신분석 입문, 꿈의 해석)

 

✔까칠남 프로이트, 무의식을 해석하다④(방어기제, 자아방어기제, 투사, 합리화, 부인, 정신분

◆ 지난 시간에 우리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그리고 성격발달 이론에서 매우 두드러진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불안(anxiety)'과 불안의 세 가지 유형(현실적 불안, 신경증적 불안, 도덕적 불안)에

narrare3.tistory.com

 

 

2021.08.21 - [이야기가 있는 정원, 상담심리]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③(자아방어기제, 치환, 퇴행, 주지화, 억압, 해리, 상징화, 반동형성, 상담의 목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③(자아방어기제, 치환, 퇴행, 주지화, 억압, 해리, 상징화, 반동형성, 상

■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정신분석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심리성적 발달이론, 고착, 프로이트가 제시한 발달의 5단계, 그리고 현실적 불안, 신경증적 불안, 도덕적 불안, 엘렉트

narrare3.tistory.com

 

 

④ 척도 4 Pd(Psychopathic Deviate, 반사회성) :

 

 

㉮ 반사회적 일탈 행동, 가정이나 권위적 대상 일반에 대한 불만, 반항, 적대감, 충동성, 자신 및 사회와의 괴리, 학업이나 진로문제, 범법행위, 알코올이나 약물남용, 성적 부도덕 등을 반영했다.

 

㉯ 원판 MMPI의 총 50개의 문항이 MMPI-2에서도 유지되었다.

 

㉰ 5개의 소척도, 즉 가정불화(Pd1 - Familial Discord), 권위와의 갈등(Pd2 - Authority Problems), 사회적 침착성(Pd3 - Social Imperturbability), 사회적 소외(Pd4 - Social Alienation), 자기 소외(Pd5 - Self-Alienation)로 이루어져 있다.

 

㉱ 일탈 행동이 나타나기 이전 잠재 시기에는 오히려 다른 사람의 호감을 사고, 지적인 사고와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반응형

 

 

㉲ 정상적인 사람으로서 척도 4의 점수가 약간 높은 경우 자기주장적이고 솔직하며, 진취적이고 정력적이지만, 실망스러운 상황이나 좌절에 처하게 되면 공격적이고 부적응적인 모습으로 변하게 된다.

 

㉳ 측정 결과가 65T 이상인 경우 외향적 . 사교적이면서도 신뢰할 수 없고 자기중심적이며, 무책임하다. 스트레스를 경험하면 반사회적인 특성이 드러나며, 적대감이나 반항심을 표출한다. 특히 척도 4의 점수가 높은 사람은 외향화(Extemalization), 행동화(Acting-Out), *합리화(Rationalization) 및 주지화(Intellectualization)의 방어기제를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 측정 결과가 낮은 경우 도덕적 . 관습적이며, 권태로운 생활에도 잘 견뎌낼 수 있다. 반면, 자신의 경쟁적 . 공격적 . 자기주장적인 성향에 대한 강한 억제를 반영하기도 한다.

 

 

 

 

척도 4: 반사회성

총 5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공격성’의 정도를 나타낸다. 가족이나 권위적 대상에 대한 불만, 일탈행동, 성문제, 자신 및 사회와의 괴리, 일상생활에서의 권태 등이 이 척

terms.naver.com

 

 

 

■ 다음 시간에 계속, MMP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출처 및 참조 : [임상 심리학], 심리 평가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